[2·4대책]“재초환 미부과” 제안에도…주민·조합은 ‘글쎄’ / 아닌데? 문의 많이 들어오는데?
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18&aid=0004846452
[2·4대책]“재초환 미부과” 제안에도…주민·조합은 ‘글쎄’
[이데일리 김나리 기자] “국가가 땅 사서 개발한 공공아파트 입주권을 주겠단 것인데, 조합원들이 생각하는 좋은 아파트 기준에 얼마나 부합할지 모르겠다. 더 지켜보고 판단하려고 한다.”(김
news.naver.com
- 주민과 조합들은 고개를 갸웃거리고 있음
규제 일변도에서 벗어나 사업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단 점은 긍정적이지만, 공공이 주도권을 갖는데다 재산권 침해 소지 등이 걸림돌이라는 지적. 향후 진행사항을 더 지켜보고 검토하겠다는 분위기
- 신반포19차 김성수 조합장
정부가 양도세 면제, 재초환 미부과 등 규제완화 의지를 보여준 것은 긍정적
다만 조합원들이 원하는 고급화된 아파트가 나올지는 의문
검토할 순 있지만 정부 보상 금액이 정확히 공개되지 않은 데다 서민용 아파트 입주권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 공존. 세부적으로 살펴볼 생각
- 강북5구역 추진위 관계자
공공이 땅을 다 산다니 현실화 가능성이 적어보임
공공재개발 설명회를 앞두고 있어 우선 이를 들어보고 의견을 나눠볼 예정
- 용두1-6구역 관계자
기발한 발상이지만 실현 가능성이 적어보임. 일단 분양가상한제 제외 메리트가 있는 공공재개발을 계속 추진할 것.
-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
강남처럼 이익이 많이 남거나 집값이 높은 주요 지역은 참여하지 않을 것
수익성이 떨어지는 지역들 위주가 될 것
강북 중심 공공 직접시행 정비사업 -> 고급화인 강남과 강북 간 양극화 심화
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20&aid=0003337173
국토부 “강남 재건축 단지들 문의 많이 들어와”
정부가 25번째 부동산 대책을 내놓은 가운데, 윤성원 국토교통부 제1차관은 “서울 강남 재건축 추진 단지들이 국토부로 많은 문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에선 민간의 재개발·재건
news.naver.com
- 윤성원 국토교통부 제1차관
서울 강남 재건축 추진 단지들이 국토부로 많은 문의를 하고 있다.
- 3개의 옵션
1. 현재처럼 조합 위주로 하는 것
2. 공공재개발, 공공재건축
3. 공공 단독으로 하는 것
- 아파트 브랜드 역시 LH나 SH를 달지 않고 주민들이 선택하게 할 예정. 조합은 없지만 주민 대표 회의를 만들어 주민이 원하는 설계, 시공업체, 원하는 브랜드까지 전적으로 주민이 결정
- 분양가 조정을 위해 저가 자재를 쓰는 경우 없음. 고급자재를 쓰면 사업비가 올라간다는 사실을 설명한 다음 주민들이 동의하면 할 예정.
- 대출
이미 대출을 끼고 있는 집은 이주비 대출 불가능
LH가 금융권하고 협의한 다음 거기에 맞는 전용 대출상품을 만들 예정
어제 공급 대책이 발표되고 가장 이슈가 있었던 것은 아무래도 공공직접시행 정비사업인 것 같다.
일전에 공공재개발, 공공재건축과는 다른 새로운 방법이기 때문에 정비사업을 진행하는 곳에서 또 하나의 대안이 나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민간으로 할 것인지 민간과 공공이 함께할 것인지 공공 단독으로 할 것인지 선택하면 된다.
이미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된 곳도 있고 앞으로 선정될 곳도 있다.
이런 곳들은 특히 득실을 따져가며 선택할 것 같다.
비슷해보이지만 조금은 다른 공공정비사업과 공공직접시행정비사업
가장 큰 차이점은 분양가상한제 적용 여부와 재건축 관련 규제 완화 여부이다.
또한 이번 공공직접시행정비사업은 어제를 기점으로 더이상 매수를 할 수 없는 점도 추가되었다.
첫번째 기사는 주요 재건축, 재개발 단지들이 머뭇거리고 있다는 내용이고
두번째 기사는 많은 단지들이 문의를 한다는 내용이다. (물론 국토부 차관님의 일방적인 말씀이라...)
앞으로 민간정비사업, 공공정비사업, 공공직접시행정비사업이 다른 양상으로 갈 것 같다.
공공이던 공공직접시행이던 정부가 한다고 한 것은 꼭 지켰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