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금리 변화가 대출에 미치는 영향

솜솜꾸 2021. 3. 22. 22:31
반응형

예대마진

- 예금과 대출의 차이로 생기는 마진

- 은행의 기본적인 수입

- 예금이자 < 대출이자

 

금리

- 이자율

- 돈의 가격, 돈의 가치, 돈 사용에 따른 댓가, 사용료

 

기준금리

- 금리체계의 기준이 되는 중심금리

- 한국은행의 최고 결정기구인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매달 회의를 통해서 결정하는 금리

- 1년에 8차례 기준금리 결정

- 한국은행이 아주 짧은 기간 동안 시중은행에 돈을 빌려주고 돌려받을 때 적용하는 금리

 

가산금리 

-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덧붙이는 금리 

- 스프레드, 위험가중 금리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경기 회복)

- 이자를 많이 내게됨

- 수익이 적어지니 물가가 올라가고 일자리가 줄어듦.

- 장점:

- 단점: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경기 침체)

- 대출 이자가 저렴해짐

- 부동산에 돈이 몰림

- 개인과 기업의 대출이 많아짐

 

 

 

 

 

 

 

미국 연방준비제도 제로금리 동결

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246112&plink=ORI&cooper=NAVER

 

8번째 금리동결…2023년까지 제로금리 유지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현재의 제로금리를 유지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연준은 경제활동과 고용 상황이 최근 나아지고는 있지만 코로나로 인한 경기 침체 영향이 워낙 커서 회복세

news.sbs.co.kr

 

-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는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지금의 제로금리 수준에서 동결하기로 함. 지난해 3월 이후 8번째 동결

 

- 2023년까지 제로금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음.

 

- 올해 경제 성장률 지난해 12월 예측치인 4.2%보다 높은 6.5%로 전망

  올해 물가상승률도 목표치인 2%보다 높은 2.4%로 예상

  실험률은 올해 연말쯤 4.5%로 떨어질 것이라 전망

->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

 

- 기준 금리 동결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감소되고 경제 성장률 전망은 예상치를 웃돌면서 뉴욕 증시는 일제히 반등

 

 

 

 

 

미국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한국에서 벌어지는 일

youtu.be/z7fJnhe8WS8

 

1. 미국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미국 금융상품에 투자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수익(이자율)이 한국보다 높을 가능성이 큼

2. 한국에 투자했던 돈을 빼서 미국으로 가져감. 

3. 주식, 채권같은 금융자산을 먼저 처분함.

4. 원화를 팔고 달러를 사는 투자자들이 많아짐.

5. 이런 사태를 막기 위해 한국도 기준금리를 올림. 

6. 가계부채에 대한 국민의 부담이 커짐

 

 

 

 

대출금리 인상 관련 뉴스

biz.sbs.co.kr/article/20000007497?division=NAVER

 

[이슈분석] 스멀스멀 오르는 대출금리…영끌했던 가계 빚 뇌관되나

경제와이드 모닝벨 '이슈 분석' -조경엽 한국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행 대출 잔액이 지난달 말 처음으로 1천조원을 돌파했습니다.은행에서 돈을 빌린 사람들도 많았고, 빌린 액수도 컸다는

biz.sbs.co.kr

biz.sbs.co.kr/article/20000007445?division=NAVER

 

너도나도 주담대·신용대출 금리 인상 러시…왜?

[앵커]이달 들어 일부 시중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잇따라 올렸습니다.신용대출에 이어 주담대까지 금리 부담이 더 높아진 겁니다.주담대 금리 기준이 되는 코픽스가 떨어지고 있음에도

biz.sbs.co.kr

imnews.imbc.com/replay/2021/nwtoday/article/6118598_34943.html

 

대출금리 들썩…"1%p 오르면 가계 부담 12조↑"

가계부채가 천7백조 원, 사상 최고치인데 시중 금리가 오르고 있죠. 대출금리도 꿈틀거리고 있는데, 대출금리가 1퍼센트 포인트 오르면 우리 가계의 이자 부담이 12조 원...

imnews.imbc.com

 

 

 

기준금리는 그대론데 대출금리가 오르는 이유

youtu.be/xuXAFe7_Ors

- 기준금리는 시중은행이 한국은행에서 돈 빌릴 때 적용되는 금리

- 기준금리가 낮아질수록 시중은행이 한국은행에 지불하는 이자가 줄어들어 우리에게도 낮은 금리로 대출이 가능

BUT, 정비례 아님

- 시중은행도 돈을 빌릴 때 이자를 지급

- 은행의 자금조달은 한국은행, 예금 적금, 은행채(채권), CD(양도성예금증서) 등

- 은행의 자금조달 비용이 늘었기 때문에 대출금리가 오름. 

 

대출금리

- 여러 수단(상품)을 통하여 돈을 빌려 오는 시중은행, 그런데 수단(상품)별로 이자는 제각각. 시중은행이 지불하는 가중 평균 이자율 = 코픽스

- 코픽스(=자금조달비용지수)

은행이 돈을 빌릴 때 내는 이자율

 

 

기준금리와 대출금리의 상관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