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내용을 설명한 영상입니다.
https://youtu.be/vugHM1HUJvc
안녕하세요.
지난번 경기도 서남권, 동남권에 이어 오늘은 동북권 대장아파트 시세 및 비교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남의 경우 동남권 지역이 많아 동북권으로 넣은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부동산 지인을 통해 알아본 동북권 지역의 평균 평단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하남 2724만원, 구리 2138만원, 남양주 1327만원, 의정부 1061만원, 양주 728만원입니다.
지금부터 각 지역의 대장아파트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입지와 가격을 함께 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에는 가격을 비교하면서 저평가 지역을 찾을테니 끝까지 봐주세요!

하남시는 크게 미사강변지구, 감일지구 위례신도시가 있습니다. 그리고 3기 신도시 하남교산지구도 있습니다.

먼저 하남 위례입니다.
위례신도시는 서울시 송파구, 경기도 하남시, 경기도 성남시 세 지역에 걸쳐져 형성되어있습니다.
그 중 하남에 속하는 곳의 대장아파트는 위례롯데캐슬입니다.
1673세대 2016년식으로 강남 삼성역을 지나가는 위례신사선과 8호선과 5호선을 잇는 위례선이 지나가는 역을 도보 15분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바로 초,중,고가 붙어 있어 아이들이 통학하기에도 좋고 가까운 곳에 공원이 있습니다. 상권인 이곳에 형성되어있습니다.
현재 호가 14억입니다.

하남 미사강변지구의 대장아파트는 1188세대 2016년식 미사강변푸르지오입니다.
미사강변센트럴자이도 대장아파트인데 9호선 연장 호재가 있어 푸르지오로 정했습니다.
9호선 지하철예정역까지 도보 10분이고 초중고 모두 가까이에 있습니다.
호수공원이 바로 옆에 있어 단지 내 호수공원뷰가 나오는 곳도 있습니다. 중심 상가의 위치는 이곳이지만 그 위쪽과 단지 위쪽으로도 상가가 형성되어있습니다. 5호선 미사역까지는 15분~20분정도 걸립니다.
현재 호가 12.5억입니다.

구리와 남양주는 다양한 택지지구가 존재합니다.
먼저 합쳐서 다산이라고 불리는 남양주의 다산 진건지구와 다산 지금지구가 있습니다.
구리의 갈매지구, 바로 붙어있는 남양주의 별내지구도 있습니다.
3기 신도시로 왕숙지구도 있습니다.
이렇게 지도로 보니 왕숙지구보다 서울에 가까이 있는 택지지구들이 3기 신도시가 들어오면 더욱 빛을 발할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단순히 구리와 남양주의 대장아파트를 알아보는 것이 아니라 택지지구별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9호선 연장 호재가 있을지도 모르는 남양주 다산지금지구를 먼저 보겠습니다.
얼마 전 3기 신도시 교통계획으로 9호선 남양주 왕숙지구 연장 발표가 있었는데요
하남 미사를 지나 남양주 왕숙지구까지 이어지는 구간인데 여기서 다산지금지구에 9호선이 정차하는지는 정확히 나오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미 지금지구는 연장 호재가 반영된듯합니다.
일단 지금지구의 대장아파트는 다산신도시금강펜테리움2단지입니다.
1304세대 2019년식으로 초품아에 중학교도 가까운 곳이 위치합니다.
현재 고등학교의 위치는 조금 거리가 있지만 곧 가까운 곳에 고등학교를 짓는다고 합니다.
도농역 동쪽으로 법원, 시청, 경찰서가 있고 상권이 형성되어있습니다.
현재는 지하철역이 없어 조금 동떨어져보이는데 9호선 연장이 확실시된다면 참 좋겠네요.
현재 가격 12.5억입니다.

다음은 구리의 구도심으로 재개발이 활발히 진행중입니다.
대장아파트인 632세대 2020년식 E편한세상인장어반포레 또한 재개발로 지은 아파트입니다.
현재 경의 중앙선이 지나가는 구리역은 8호선 연장으로 더욱 서울 접근성이 좋아지는데요
구리역까지 도보 15~10분입니다.
구리역 주변으로 백화점 등 상권도 잘 형성되어있습니다.
초등학교는 공원을 지나 도보 10분정도 걸어가야 합니다. 중학교 고등학교도 비슷한 시간이 소요됩니다.
현재 호가 11.7억입니다.

구리 구도심의 재개발 현황입니다. 이곳이 아까 살펴본 대장아파트였구요
구리역을 중심으로 남쪽으로 많은 재개발이 이루어지네요.
재개발이 완성되면 주거환경도 개선되고 서로 가격 영향도 받으며 더욱 좋아질 곳입니다.

다음은 구리 구도심과 8호선으로 연결될 다산 진건지구입니다.
대장아파트는 1283세대 2019년식 힐스테이트다산입니다.
8호선역까지 도보 10~15분정도 걸리고 초중고 모두 가까이에 위치해있습니다.
진건지구의 상권과 공원위치입니다.
현재 호가 11.7억입니다.

8호선은 더 연장되어 별내역까지 갑니다.
별내역 주변은 위쪽으로 별내지구, 아래쪽으로 갈매지구가 있습니다.
별내역은 현재 경의중앙선이 지나가고 앞으로 8호선 연장, GTX-B 개발 호재가 있습니다.
갈매지구의 대장아파트는 1196세대 2018년식 갈매역아이파크입니다.
갈매역 바로 앞에 위치해있고 아울렛 등 상권과 가깝습니다.
갈매지구 자체가 아담하여 초중고 모두 도보로 이용 가능합니다.
현재 호가 8.8억입니다.

별내지구의 대장아파트는 652세대 2012년식 별내쌍용예가입니다.
사실 연식이 좀 오래되고 지하철역까지 도보 15분으로 거리가 있어서 앞으로 대장은 얼마 전 엄청난 경쟁률로 분양된 별내자이더스타아파트가 될 것 같습니다.
초등학교 중학교 모두 도보로 이용 가능하고 별내역 가까이에 이마트가 있고 상권은 앞으로 형성될 예정입니다.
현재 호가 9억입니다.

별내지구의 또다른 대장 1083세대 2015년식 별내아이파크2차입니다.
별내지구는 위아래로 길게 형성되어있어 위쪽 생활권과 아래쪽 생활권이 분리되어있습니다.
4호선 연장 호재가 있는 곳과 도보 5분 거리로 근처에 상권과 공원도 잘 형성되어있습니다.
초중고의 위치입니다.
현재 호가 9억입니다.

이번엔 서울과 1호선으로 연결되어있는 의정부입니다.
의정부의 대장아파트는 의정부역센트럴자이앤위브캐슬 의센자라고 부르죠? 2473세대 2022년 입주 예정입니다.
현재 분양권 상태로 GTX-C가 들어올 의정부역을 도보 15~20분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가 아주 가까이에 있고 공원도 옆에 있습니다.
현재 호가 8.85억입니다.

1호선을 타고 조금 더 올라가면 나오는 양주의 현재 대장은 2기 신도시 양주옥정신도시의 e편한세상옥정에듀써밋입니다.
1160세대 2018년식으로 바로 위쪽으로 7호선 연장 호재가 있고 초중고 모두 가까이에 위치해있습니다.
상권과 공원 위치입니다.
현재 호가는 6.6억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대장아파트 가격을 한번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하남위례신도시 14억입니다.
9호선이 연장되는 미사강변지구 12.5억, 연장될지도 모르는 다산 지금지구 12.5억입니다.
8호선이 연장되는 구리 구도심 11.7억, 다산진건지구 11.7억입니다.
계속해서 8호선 연장되는 별내역 주변 갈매지구 8.8억, 별내지구 9억입니다.
의정부 8.85억, 양주 6.6억입니다.
가격 비교를 위해 서울의 가격도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강동구 고덕그라시움이 17억, 도봉구 동아청솔아파트아 11.5억입니다.
여러분이 보시기에 어디가 저렴해보이시나요?
저는 다산지금지구의 가격이 눈에 띕니다.
아무리 호가라고 하지만 12.5억은 현재 지하철이 들어와있는 미사강변지구의 대장아파트 가격입니다.
실거래가는 마지막 8.5억인데 혹시나 12.5억으로 실거래가 찍힌다면
나머지 미사강변지구, 구리 구도심, 다산 진건지구가 저렴해보이는 효과가 생길 것 같습니다.
또한 그 위쪽으로 별내지구, 갈매지구도 마찬가지구요.
다산 지금지구의 실거래가의 행보를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또 저렴해보이는 곳은 양주입니다.
요즘 양주의 시세가 많이 오르긴 했지만 그래도 다른 지역에 비해 아직도 저렴해보입니다.
양주옥정신도시는 현재 교통이 불편하고 아직 인프라가 형성되어있지 않아서 저렴한 곳이지만
지하철 7호선 연장이 이루어지고 아파트 입주가 끝나고 인프라가 형성된다면 더욱 발전할 곳 같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경기도 동북권의 대장아파트를 알아보고 가격 비교를 해보았습니다.
다음 영상에서는 경기도의 마지막 지역인 서북권, 요즘 아주 핫하죠?
서북권에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전국 부동산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정대상지역 아닌 투기과열지구 창원 의창구 (0) | 2021.01.27 |
---|---|
기사를 통해 알아본 강원도 강릉의 부동산 분위기는? (0) | 2021.01.25 |
수인분당선으로 알아보는 수용성의 가격 흐름 (1) | 2021.01.19 |
인천 남동구 재개발 현황 (0) | 2021.01.17 |
경기도 동남권 대장아파트 입지 및 시세 비교 (0) | 2021.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