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view.asiae.co.kr/article/2020102911224149154
https://view.asiae.co.kr/article/2020102911224149154%EF%BB%BF
view.asiae.co.kr
- 지난달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이 전월 대비 1.8% 줄어듦. (8월 2만8831가구 -> 9월 2만8309가구)
- 5년 4개월 만에 최저치. (2015년 5월 2만8142가구)
why? 주택 공급 감소가 예상되면서 늦기 전에 내 집 마련에 나서는 수요자들이 미분양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음.
- 수도권은 늘어남. (8월 3166가구 -> 9월 3806가구)
- 지방은 줄어듦. (8월 2만5665가구 -> 9월 2만4503가구)
- 유일하게 미분양이 없는 곳은 세종. 가장 많은 곳은 경남. but, 감소세를 보임.
- 중대형 미분양은 1671가구(13.7% 감소), 중소형 미분양은 2만6638가구(1.0% 감소)
- 준공 후 미분양 1만7781가구 -> 1만6838가구(5.3% 감소)
아실에서 지역별로 최근 3년간 미분양 현황을 살펴보았습니다.
<수도권>
서울은 2019년 3월 잠시 미분양이 늘었지만 빠르게 감소하여 항상 미분양수가 적은 상태를 유지하였습니다. (현재 56가구)
경기도는 2019년 12월을 기점으로 미분양이 감소하였습니다. (현재 2585가구)
인천은 2019년 7월을 기점으로 미분양이 감소하였습니다. (현자 525가구)
-> 수도권은 전체적으로 기간을 더 길게 잡으면 2014년부터 미분양이 추세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이 보였습니다.
<충청권>
대전은 2019년 2월 이후 미분양이 감소하였고 (현재 783가구)
세종시는 3년간 미분양이 없습니다. 대단합니다... 기간을 더 길게 놓고 보니 2013~2015년까지는 미분양이 있었네요.
충북은 2017년 7월 이후 미분양이 줄어들었습니다. (현재 337가구)
충남은 2018년 2월 이후 미분양이 줄어들었습니다. (현재 3233가구)
-> 대전, 세종, 충북은 현재 미분양이 매우 적은 상태입니다. 기간을 더 길게 놓고 봐도 대부분 충청권은 2018년 이후부터 미분양이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수도권보다 반응이 늦게 왔네요.
<경남권>
부산은 2019년 5월 이후 미분양이 감소하였습니다. (현재 1454가구)
울산은 2019년 12월 이후 미분양이 감소하였습니다. (현재 502가구)
경남은 2019년 7월 이후 미분양이 조금씩 감소하고 있습니다. (현재 8841가구)
-> 부산, 경남은 아직 미분양 가구수가 많은 편입니다. 하지만 2019년 중반 이후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며 수요가 살아나고 있음이 느껴집니다. 최근에는 미분양이 이전에 비해 현저히 줄어들었습니다. 울산도 마찬가지입니다.
<경북권>
대구는 다른 지역과 다른 모습이 보입니다. 특히 기간을 더 길게 하고 봤을 때 2005년~2009년까지 미분양이 빠르게 그리고 많이 증가하였고 그 이후 2015년까지 미분양이 또 빠르게 줄어들었습니다. 2020년 1월 이후 조금 줄어드는 모습이 보였지만 2020년 8월에 갑자기 증가하였습니다. 그래도 2005년~2009년 사이의 미분양에 비해 현저히 적은 숫자는 맞습니다. (현재 1624가구)
경북은 2018년 12월 이후 미분양이 점차 줄어들고 있습니다. (현재 3423가구)
-> 경북권은 대체적으로 아직 미분양이 좀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하지만 대구의 상승과 경북 몇몇 지역들의 상승을 보면 미분양 수를 더 지엽적으로 살펴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전라권>
광주는 더 긴 기간으로 봤을 때 2012년~2013년까지 엄청난 미분양이 있었습니다. 미분양이 줄어들었다가 다시 2017년까지 미분양이 조금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2017년 6월 이후부터 미분양이 줄어듭니다. (현재 31가구)
전북은 2018년 7월 이후 미분양이 감소합니다. (현재 3423가구)
전남은 2019년 11월 이후 미분양이 감소합니다.
-> 광주의 미분양 수가 충격적이네요. 31가구....
미분양의 추세를 지역별로 묶어서 살펴보니 공통점이 있는 곳도 있었고 아닌 곳도 있었습니다.
미분양은 수요를 가늠하게 해주는 지표다보니 미분양이 줄어드는 추세인지, 늘어나는 추세인지 앞으로도 확인하는 습관을 가져야겠습니다.
그나저나, 미분양이 증가하는 추세인 지역은 단 한 곳도 없네요.
앞으로 전국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어떻게 되려고.........................@.@
'전국 부동산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광역시 지역분석(2020.11.1) (0) | 2020.11.01 |
---|---|
검단신도시 101 역세권 개발 사업 (롯데건설 컨소시엄) (0) | 2020.10.30 |
10월 넷째 주 청약 (0) | 2020.10.26 |
서울 전세살이 포기합니다. (0) | 2020.10.21 |
과천 지식정보타운 로또 분양 (0) | 2020.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