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은 약 340만 인구가 살고 있으며 이는 광역시 중 제일 많은 수이다.
면적은 약 770km²로 광역시 중 네번째로 큰 지역이다.
대한민국 제2의 도시이자 영남권 제1의 도시로
국내 최대국제무역항이 있는 제1의 항구도시, 제1의 해양교통과 제2의 항공교통 김해국제공항이 있다.
국내 제2의 도시답게 광역시 중 가장 많은 15구가 있다. 그리고 한 개의 군이 있다.
도심으로는 서면과 광복동이 있고, 부도심으로는 해운대, 구포, 사상, 하단, 동래, 강서로 이루어져 있다.
원부산권은 중구, 동구, 영도구, 서구, 사하구, 부산진구 남쪽 일부
동래권은 연제구, 동래구, 금정구
서부산권은 사상구, 북구, 강서구, 사하구 일부
동부산권은 남구, 수영구, 해운대구, 기장군
중심권은 부산진구로 나눌 수 있다.
부산은 2017년 8월 2일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되었다. (해운대구, 수영구, 동래구)
2019년 11월 6일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가 되었다.
2019년 11월 기준으로 매매 시장강도가 높아지는 것이 보인다.
곧이어 매매가도 올라갔다.
2017년, 2018년, 2019년 입주물량이 많았었다.
하지만 2021년 입주물량은 줄어들고 2023년에는 많이 줄어드는 것이 보인다.
현재 가장 많이 오르는 곳은 수영구, 해운대구, 남구 순이다.
거래량이 2017년을 기점으로 많이 줄어들었고 2019년 11월에 갑자기 증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다시 거래량이 줄어들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거품이 빠지고 있다고 이야기 한다.
미분양은 2017년 말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9년 초에 절정을 이루었지만
요즘 급속도로 줄어드는 것이 보인다.
부산 내에서 평균 평당가가 높은 순서는 수영구, 해운대구, 연제구, 동래구, 남구 등이다.
하지만 구 안에서 동별로 살펴보면 순서가 바뀌기도 한다.
수영구의 대장은 남천동, 해운대구의 대장은 우동, 그 다음은 동래구의 명륜동이다.
각 구별로 대장아파트를 정리했다.
이는 30평을 기준으로 하였기에 해운대구의 많은 대형 아파트, 주상복합은 빠져있다.
'전국 부동산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청북도 현황 (2020.2.21.) (0) | 2020.02.24 |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현황 (2020.2.20.) (0) | 2020.02.21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성산구 현황 (2020.02.16.) (0) | 2020.02.16 |
울산광역시 중구 현황 (2020.1.3.) (0) | 2020.01.03 |
울산광역시 현황 (2020.1.3.) (0) | 2020.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