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각종 부동산 자료

3기 신도시 정리

반응형

n.news.naver.com/article/009/0004664429?cds=news_edit

 

입지는 하남 교산, 당첨확률은 남양주 왕숙…30대에 `기회의 땅` 되나

◆ SPECIAL REPORT : 3기 신도시 집중분석 ◆ 최근 전셋값과 집값이 함께 뛰면서 20·30대의 이른바 '패닉바잉'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실제로 서울에 거주하는 중산층이 내 집을 마련하기는 점점 어려�

n.news.naver.com

 

 

 

- 3기 신도시(17만3000가구)는 서울과 연결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 광역교통망이 지나갈 예정인 지역에 집중적으로 배치됐다. 대부분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주변 지역으로 서울 동남권(하남), 동북권(남양주), 서남권(인천 계양, 부천 대장), 서북권(고양 창릉) 등 동서남북으로 지역을 안배했다.

 

 

(1) 남양주 왕숙

- 1,134만㎡ 66,000가구. 3기 신도시 중 가장 큰 규모

- 다산신도시 근처로 북쪽으로는 덕송~내각 고속화도로, 남쪽으로는 수석~호평 도시고속화도로

- 왕숙1지구(5만3000가구) 경제중심도시, 왕숙2지구(1만3000가구) 문화예술중심도시

- 별내선 연장, 경의중앙선역 신설, GTX B(송도~서울역~마석) 예정 

- 8호선 별내선(서울 암사~남양주 별내), 4호선 진접선(서울 당고개~남양주 진접)이 근처를 지나지만 왕숙지구로 바로 들어오지는 않아서 GTX-B 노선의 건설이 가장 중요함.

- 왕숙지구 북쪽으로 진관산업단지를 활용하여 직주근접 환경 조성 계획

- 인근 별내, 다산 신도시 전용 84 기준 시세가 7~8억인 사실을 고려하면 분양가 5억원 안팎일 가능성 높음.

 

 

(2) 하남 교산

- 649만㎡ 32,000가구. 설문조사 결과 수도권 공공택지 관심 지역 1위

- 하남 미사지구를 북쪽에, 감일지구를 서쪽에 두고 있음. 신도시 중에서 강남권과 가장 가깝고 분양 가구 수가 비교적 많음.

- 왼쪽이 남북 방향으로 뻗은 산에 막혀 있음. 차량으로 서울 강남에 가려면 북쪽으로 돌아 올림픽대로를 타야 함. 이에 국토교통부는 교산지구에서 송파 쪽으로 이어지는 송파~하남 도시철도를 만들고 터널을 뚫기로 함.

- 북쪽에는 자족용지 92만를 배치하는데 기업지원허브, 청년창업주택 등을 공급함. 남한산성 등과 가까워 한옥마을, 백제문화박물관 등도 조성함.

- 하남나들목(IC)~상사창나들목(IC) 도로를 신설하는 등 도로망도 확충함.

- 왕숙지구 북쪽으로 진관산업단지를 활용하여 직주근접 환경 조성 계획

- 인근 하남 미사지구 새 아파트 전용 84 시세는 9억원 선

 

 

(3) 인천 계양테크노밸리

- 335만㎡ 17,000가구. 3기 신도시 중 가장 작은 규모지만 사업 속도가 빠름.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남측으로 지하철 계양역과 개화역 사이에 있음. 서울 마곡산업단지와 가깝고 지구 남쪽으로 서운 1,2산업단지와 연계돼 있음.

- 90만규모 자족용지에는 스타트업 캠퍼스와 창원지원주택 등을 건립해 기업을 유치

- S-BRT(인천지하철 1호선 박촌역~김포공항역), 청라~가양 BRT 등 예정. BRT와 주변 교통망을 연계하면 서울 여의도까지 30분 이내 도달 가능.

- 인근 박촌역 근처 새 아파트 전용 84 매매가 4억8000만~5억 선으로 30평대 분양가격이 4억원보다 낮게 나올 수 있음. 다른 3기 신도시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할 것으로 예상됨.

 

 

(4) 부천 대장지구

- 343만㎡ 20,000가구. 산본 보다 약간 작은 규모

- 북쪽으로 김포공항이 있고, 지구 서쪽에 먼저 3기 신도시로 지정된 인천 계양테크노밸리와 맞닿아 있음. 서울 강서구와 부천시를 잇는 봉오대로를 활용하면 차량으로 10~15분 거리에 마곡지구가 있음.  

- 사물인터넷(loT), 빅데이터 등 혁신 기술을 도입하는 스마트 실증단지를 조성하려던 부천 북부 지역 친환경복합단지 예정 용지 중 상당수가 포함됨.

- 공항철도와 지하철5,9호선 역인 김포공항역, 지하철 7호선과 대곡소사선이 지나는 부천종합운동장역을 잇는 '슈퍼BRT'를 설치해 교통망을 개선한다는 계획이 있으나 이 광역교통계획이 실제로 나와봐야 대장신도시 잠재력을 가늠할 수 있다는 의견이 많음.

- 입지는 괜찮은 것으로 평가받지만 주변 신도시와 얽히면 물량 부담이 있음. (서울 마곡, 인천 계양, 인천 검단)

 

 

(5) 고양 창릉지구

- 813만㎡ 38,000가구. 일산의 절반 크기고 판교와 비슷

- 동쪽으로 고양 향동지구, 서쪽으로는 화정지구, 북쪽으로는 삼송지구를 두고 있음. 3기 신도시 중 두 번째로 넓음.

- 사물인터넷(loT), 빅데이터 등 혁신 기술을 도입하는 스마트 실증단지를 조성하려던 부천 북부 지역 친환경복합단지 예정 용지 중 상당수가 포함됨. 창릉신도시 발표 당시 '빨대 효과'로 일산이 가장 큰 타격을 받는다는 우려도 많았음. 하지만 삼송, 지축, 향동, 원흥 등 대규모 주거지가 조성되고 있는 택지와 거대한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어 시너지 효과가 날지, 부작용이 많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이 많음.

- 서부선(28년 개통 예정), 고양선(새절역~고양시청역) 연결. 이들과 GTX-A를 연계해 여의도까지 25~30분, 삼성역까지 30~40분 시간 단축.

- 인근 원흥 삼송지구 아파트 전용 84는 7억원 안팎에 실거래 되고 있음.

반응형